![]() 재일 동포작가 유미리의 북한 방문기. 작가는 북한의 현실적인 여러 정황에 대하여 구태여 이해하고자 하지 않은 채 그냥 냉철하게 객관적으로 사실 그대로를 르포화한다. 독자들이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려하기보다는 일본사회에서 자란 자유주의자답게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그대로 담아낸다.
특히 제1장에서는 북한의 현대사를 일별할 수 있도록 중요한 관광지를 두루 돌며 한국전쟁 이후의 북한주민 생활사와 역사의식이 소박하고 간략하게 소개되고 있다. 북한에 웬만큼 관심을 가진 독자라면 다 아는 내용들이지만 그런 사실을 재일 동포 인기 여류작가의 시선으로 재확인한다는 점이 의의 있게 다가선다. 제1장 첫 방문―내가 본 환상의 조국 2008년 10월 조국, 우리나라, 서울에 프로모션으로 가거나, ≪8월의 저편≫의 취재 차 어머니가 태어난 고향인 경상남도 밀양을 걷고 있을 때는 느끼지 않았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니 심한 노스탤지어에 싸였다.
나 자신은 태어나면서부터 데라시네(뿌리 없는 풀)였다고, 기회 있을 때마다 이야기하곤 했다. 뿌리내릴 장소를 자진해서 포기하고, 앞날에 다가올 예측할 수 없는 어려움에 직면하더라도 긍정적인 자세만은 잃지 않으리라고 생각했는데, 북한에서 돌아오니 마음을 조국에 남겨두고 몸만 일본에 돌아온 듯한 공허함에서 한동안 벗어날 수가 없었다. 마음이 조국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민족의식에 기인하는 감정은 아니었다. 해 질 무렵 대동강 강변을 걷고 있으면, 자전거 짐칸에 젊은 아내를 비스듬히 태우고 때때로 뒤를 돌아다보고 말을 하면서 자전거 페달을 밟고 있는 젊은 남자, 오른손에는 분홍색 아이스캔디 막대기를 들고 왼손에는 자홍빛 도는 진달래 가지를 소중한 듯이 거머쥐고 걸어가는 대여섯 살 정도의 여자아이, 교과서를 읽으면서 걷는 학생들, 아장아장 걷는 손자와 손을 잡고 손자가 발길을 멈추고 바라보는 걸 쉰 목소리로 자상하게 가르쳐주는 중절모를 쓴 노인, 이렇게 한 사람 한 사람의 모습이 오즈 야스지로의 초기 무성영화와 같은 아름다움으로 가슴에 사무쳐왔다. 그리고 이 60년 동안 한반도에서 태어난 북쪽 사람들은 남쪽 땅을, 남쪽 사람들은 북쪽 땅을 갈 수조차 없는 역사의 긴장 그 한가운데를 걷고 있는 듯이 느껴진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를 산다는 것은, 그 나라 내부에서 각자 개인사를 지니고 살아가는 것이지만 그 나라를 외부에서는 볼 수 없는 북한사람들이고, 일본에서 태어나고 자란 나는 나그네 입장에서 그 역사를 엿볼 수는 있겠지만 그 역사로부터는 격리되어있다. 내 안에는, 조국의 역사로부터 격리되어있는 이방인으로서의 의식과, 조국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동포로서의 의식이 늘 서로 대립하며 다투고 있다. - 알라딘
재일 동포여류작가 유미리의 북한 방문기라서 무척 궁금증을 유발한다. 일본이란 특이한 천황제 이데올로기가 아직도 상존하는 섬나라의 일부 폐쇄성 극우 반공적 정서의 소유자들은 남북한 전체에 대하여 식민지 시대의 차별감정이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그들로부터 유미리는 수시로 갖은 협박과 야유와 멸시와 비난을 당했기에 ‘조국’이란 술어가 주는 느낌은 남다를 것이다. 한국과는 잦은 내왕으로 친근감이 느껴지겠지만 북한이라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작가 자신의 인식에 앞서 우선 일본의 보수적인 상당수가 강한 반북적 정서인지라 유미리 작가로서도 북한 방문이란 그리 쉬운 결단이 아니었을 것이다. 작가는 북한의 현실적인 여러 정황에 대하여 구태여 이해하고자 하지 않은 채 그냥 냉철하게 객관적으로 사실 그대로를 르포화 한다. 독자들이 어떻게 읽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심각하게 고려하기 보다는 일본사회에서 자란 자유주의자답게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그대로 담아낸다. 이런 점이 오늘의 북한 상황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제1장에서는 북한의 현대사를 일별할 수 있도록 중요한 관광지를 두루 돌며 한국전쟁 이후의 북한주민 생활사와 역사의식이 소박하고 간략하게 소개되고 있다. 북한에 웬만큼 관심을 가진 독자라면 다 아는 내용들이지만 그런 사실을 재일 동포 인기 여류작가의 시선으로 재확인한다는 점이 의의 있게 다가선다. 유미리를 통하여 문득 저 한국전쟁 전후를 밝혀줬던 버체트부터 그 이후의 루이제 린저가 증언해 주었던 북한의 실체가 ‘분단의 렌즈’가 아닌 ‘통일과 민족의 실체’로 새삼 다가온다. 유미리 작가의 용기와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 |
평양의 여름휴가 - ![]() 유미리 지음, 이영화 옮김/615(육일오) |
최근 댓글